구인배수 0.42 의미와 고용 절벽, 산업 전환이 해답일까
‘구인배수’라는 말을 처음 듣는 분도 계실 겁니다. 구인배수란 구직자 1명당 기업이 내놓은 일자리 수 를 뜻하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구인배수가 1.0이면, 한 명의 구직자에게 하나의 일자리가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구직자는 일자리 선택의 폭이 넓고, 기업은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구인배수가 낮아질수록 구직자에 비해 기업이 내놓은 일자리가 적어, 구직난이 심각하다는 뜻이 됩니다. 이 지표는 고용시장 분위기를 가장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바로미터입니다. 그런데 최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2025년 10월 기준 우리나라 구인배수는 0.42 로 떨어졌습니다. 이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 입니다. 다시 말해, 구직자 두 명에게 겨우 일자리 하나도 채 안 되는 상황이라는 뜻입니다. 이 숫자가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은 명확합니다. 지금 한국 경제의 고용시장은 어디쯤 와 있는가, 그리고 앞으로 어디로 향해야 하는가. 고용시장, 왜 이토록 냉각됐나 구인배수 0.42라는 숫자는 그 자체로 고용시장이 꽤 심각한 상황임을 말해줍니다. 신규 구직자 수는 줄었지만, 그보다 훨씬 빠르게 신규 구인 수가 줄어들면서 수치가 바닥을 친 것입니다. 특히 제조업과 건설업을 중심으로 한 전통 산업에서 채용이 위축됐다는 점이 두드러집니다. 실제로 제조업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고금리, 수출 부진 등의 복합적 요인으로 인해 몸을 잔뜩 움츠리고 있습니다. 건설업 역시 금리 인상 여파로 주택 분양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신규 고용 여력이 현저히 떨어졌습니다. 그 결과, 수많은 구직자들이 이른바 ‘일자리 절벽’ 앞에 서 있게 된 것입니다. 하지만 산업이라는 건, 하나가 지고 나면 또 다른 하나가 뜨기 마련입니다. 그리고 지금은 그 ‘다른 하나’가 자라나고 있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산업 전환, 고용 반등의 가능성 정부는 AI를 포함한 디지털 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 기반 산업은 단순히 몇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