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공급망 재편, 리쇼어링과 프렌드쇼어링이 부상하는 이유
세상은 연결돼 있고, 경제는 그 연결 위에서 움직입니다. 과거에는 세계 어느 곳에서든 싸게 만들 수 있다면, 그게 정답이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그렇지 않습니다. "얼마나 싸게"보다, "얼마나 안정적으로"가 더 중요한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이 흐름 속에서 두 단어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바로 "리쇼어링(Reshoring)과 프렌드쇼어링(Friend-shoring)" 입니다. 더 이상 값싼 노동력이 답이 아니다 1990년대 이후, 전 세계 제조업은 비용을 줄이기 위해 중국과 동남아로 이동했습니다. 특히 한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들이 생산기지를 해외로 옮기는 오프쇼어링(offshoring)에 집중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은 이 구조의 취약함을 그대로 드러냈습니다. 항만이 멈추고, 물류가 끊기자 생산 라인은 멈췄고, 기업들은 전 세계에 흩어진 공급망이 얼마나 불안정한지 뼈저리게 경험했습니다. 거기에 미중 무역전쟁, 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 등까지 더해지며, 기업은 더 이상 비용 절감만을 추구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제는 공급망의 회복력(resilience) , 즉 위기 상황에서도 빠르게 대응하고 회복할 수 있는 구조가 중요해졌습니다. 리쇼어링, 다시 돌아오는 제조업 리쇼어링은 해외에 나가 있던 생산 시설을 다시 본국으로 가져오는 전략입니다. 일자리 창출, 기술 보존, 공급망 안정성 강화 등의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미국, 유럽 등 주요 선진국은 반도체, 배터리, 의료기기 등 전략 산업을 중심으로 리쇼어링을 적극 추진 중입니다. 하지만 단점도 분명합니다. 인건비가 높은 국가로 생산을 다시 이전할 경우, 기업 입장에서는 부담이 커집니다. 따라서 리쇼어링은 제조업 전체가 아닌, 핵심 기술과 전략 산업 중심 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순 조립보다는 고부가가치 공정 위주로 돌아오는 것이죠. 프렌드쇼어링, 신뢰할 수 있는 나라끼리의 협력 반면 프렌드쇼어링은 생산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