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최저임금 10,320원 인상, 고용과 생계의 균형은?
어떤 시대든 경제는 숫자로 말합니다. 그중에서도 ‘최저임금’이라는 숫자는 특별한 울림이 있습니다. 이 수치는 단순한 시급의 의미를 넘어서, 사회의 공정성, 시장의 공존, 노동의 가치를 가늠하는 기준점이 됩니다. 2026년의 최저임금은 10,320원. 이 숫자 속에는 우리 경제의 현재와 미래가 함께 담겨 있습니다. 인상률 2.9%, 절묘한 수치인가 아쉬운 절충인가 2025년 대비 290원 오른 시급 10,320원. 인상률로 보면 2.9%에 불과합니다. 최근의 물가 흐름, 고용시장 정체, 경기 회복세를 고려했을 때 이 정도의 인상은 ‘신중한 절충’으로 볼 수 있습니다. 사업주의 부담은 최소화하면서도 근로자의 실질 소득을 소폭이라도 높이겠다는 의도죠. 그러나 삶은 숫자보다 복잡합니다. 290원이라는 인상이 실생활에 주는 변화는 매우 제한적입니다. 특히 수도권의 임대료, 식료품, 공공요금 등을 고려하면 여전히 ‘최저 수준의 생계’조차 위태로운 이들이 적지 않습니다. 월급 2,156,880원의 무게 주 40시간, 월 209시간 기준으로 계산하면 월급은 약 215만 원. 이는 1인 가구 기준 생계는 겨우 유지할 수 있지만, 저축이나 소비 여력은 턱없이 부족한 수준입니다. 특히 자녀를 둔 가정, 고정 지출이 많은 중장년층에게는 부족함이 뚜렷합니다. 반면 영세 자영업자에게는 이 월급이 ‘인건비 폭탄’처럼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최저임금이 오르면 전체 직원 임금을 조정해야 하는 구조적인 부담이 따르기 때문입니다. 결국 이 인상폭이 가져올 파장은 노동시장 전반에 걸쳐 얽히고설킨 연쇄 반응을 불러올 수밖에 없습니다. 고용의 질, 그 다음 문제 최저임금의 본질은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는 데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그 수준에서 멈춰 있습니다. 특히 장애인, 청년, 여성 등 노동시장 취약계층은 최저임금이 곧 ‘최대임금’이 되어버리는 현실에 갇혀 있습니다. 단순히 금액을 올리는 것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고용의 질, 즉 직무의 안정성, 경력 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