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여윳돈 최대 93조원, 소비 둔화 속 숨겨진 경제 시그널
올해 1분기, 우리나라 가계가 손에 쥔 여윳돈이 93조 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통계를 처음 집계한 2009년 이후 가장 큰 수치입니다. ‘가계여윳돈’은 쉽게 말해 가계가 벌어들인 돈 중에서 쓰지 않고 남겨둔 돈 입니다. 흔히 말하는 여유자금, 즉 저축이나 투자로 돌린 돈이죠. 그런데 문제는 이 돈이 늘어난 이유가 단순히 돈을 더 많이 벌어서가 아니라는 데 있습니다. 소비를 줄였기 때문 입니다. 즉, 지갑을 덜 열었다는 이야기입니다. 돈은 늘었는데 왜 쓰지 않을까? 올해 초, 기업들이 준 상여금 덕분에 가계소득은 소폭 늘었습니다. 하지만 소비는 오히려 줄었습니다. 한국은행 발표에 따르면 민간소비는 전분기보다 1.4% 감소했습니다. 평소 같으면 연초 상여금이 들어오면 외식도 하고 쇼핑도 하고, 여행도 가면서 소비가 살아나는 흐름이 생기는데, 이번엔 달랐습니다. 대신 사람들은 돈을 은행에 예금하거나, 펀드와 주식에 투자했습니다. 예금만 50조 원 가까이 늘었고, 투자펀드도 30조 원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반면,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규모는 줄었습니다. 이런 현상은 단순한 절약이 아닙니다. 경제에 대한 불안감 이 깔려 있습니다. 고물가, 고금리, 부동산 시장 불안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지금은 쓰는 것보다 모아두는 것이 안전하다고 판단 한 것이죠. 가계여윳돈이 많아졌다는 건 좋은 일일까? 표면적으로 보면 가계가 빚을 덜 지고, 돈을 잘 모으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가계부채는 줄어들고 있습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89.4%로, 6분기 연속 하락세입니다. 하지만 이면을 들여다보면 경제에 꼭 좋은 신호만은 아닙니다. 소득이 늘었는데 소비가 줄었다는 건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가 낮다는 뜻 입니다. 소비가 줄면 기업 매출이 줄고, 이는 다시 고용이나 투자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내수가 위축되는 구조가 형성되는 겁니다. 소비 심리 회복이 중요하다 결국 중요한 건 가계가 다시 지갑을 열...